더 나은 오늘

경제/뉴스

미국 연준의 시작되는 금리 인상(2022/03/17 뉴스읽기)

Jis_ 2022. 3. 17. 23:00

국내 뉴스_스텔스 오미크론의 등장과 겉잡을 수 없는 확산.

중앙방역대책본부 자료제공

1. 하루 확진자 60만명 돌파.
2. 늘어난 코로나19 사망자 영향으로 화장장의 부족.
3. 18일 발표되는 거리두기 조정안은 8인, 밤12시로 완화하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중.
4. 분과별로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중.
5.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 정검 지속기간이 예측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전망.
6.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 높은 ‘스텔스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확진자 규모 증가.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48147]

국내 경제_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

1. 17일 생계형 적합업종 심의위원회는 중고차 매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지 않기로 결정.
2. 따라서 대기업이 중고차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됨.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48406]


해외 경제_미국의 시작된 금리 인상. 제로 금리 시대 탈출.

1. 16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의 0.25% 금리 인상.
2.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0.25~0.50%.
3. 3년 3개월만의 0% 금리 탈출.
4. 연준은 5, 6, 7, 9, 11, 12월 FOMC 정례회의마다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
5. 매번 0.25%씩 기준 금리를 올릴 경우 연말 기준금리는 1.75~2.00%로 예상.
6. 연준의 양적 긴축(대차대조표 축소)은 이르면 5월이 될 수 있다고 밝힘.
7. 파월 의장이 5월 0.50%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아 투자심리에는 긍정적인 영향.
8. 이날 다우지수는 +1.55%, S&P500지수는 +2.24%, 나스닥은 +3.77% 상승.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48251]


국내 경제_급증한 황혼이혼.

1. 3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한 황혼 이혼이 10년 새 10% 넘게 상승.
2. 2021년 전체 이혼중 17.6%가 황혼 이혼으로 전년 대비 7.5% 상승.
3. 전체 이혼 건수는 전년 대비 4.5% 줄어든 10만2000건.
4. 줄어든 전체 이혼은 결혼 자체의 감소 탓으로 설명.
5. 황혼 이혼은 사회적으로 달라진 가치관과 평균수명 연장의 영향으로 분석.
6. 지난 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4세, 여성 31.1세로 조사.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48159]

국내 부동산_규제 완화 예상에 부동산의 반등 준비.

1.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락하던 부동산이 다시 반등을 준비하는 중.
2.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 재개발 공약으로 서울의 재건축 단지가 많은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 폭 감소.
3. 일부 부동산 공인중개소에는 매물을 거둬들이는 경우가 증가.
4. 전문가들과 시장은 아직 매수세보다는 관망을 선택하는 중.
5. 전문가들은 매도자들은 관망, 매수자들은 빠른 행동이 현명하다는 판단.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4808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