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증시_전쟁 긴장감 해소로 코스피 반등, 실적주 주목
1. 러시아,우크라이나 발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와 동시에 코스피의 반등.
2. 그러나 여전한 통화 긴축 가속화 우려로 투자 심리의 매수세 전환은 더딘 편.
3. 높은 불확실성속에서 확실한 실적을 보유한 ‘실적주’ 주목 중.
4. 현재 저평가 되어 있는 실적주들이 코로나와 인플레이션 등 악재 완화와 동시에 주가의 급등을 예상중.
5. HMM의 경우 전년 대비 월등한 실적 향상에도 불구하고 시장 적정 평균치 10배에 못미치는 PER 1.9로 실적 대비 매우 낮은 주가를 형성.
매일경제
[https://m.mk.co.kr/news/stock/view/2022/02/148884/]
국내 증시_증권사들의 기업 이익 전망치 줄하향
1. 삼성증권 등의 증권사들이 엔씨소프트와 만도 등 여러 기업들의 올해 기업 이익 전망치를 하향조정 중.
2.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차질 장기화와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예측하기 어려운 악재가 잇달아 발생한 결과.
3. 특히 한국은 원자재를 수입하는 산업이 많은 만큼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이익 예상치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4. 작년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기업 이익 예상치의 상승조정이 이어졌으나 올해는 하향 조정이 많은 편.
5. 불확실성의 격류 속 기업들의 성장이 희소해진 것이라는 애널리스트들의 판단.
매일경제
[https://m.mk.co.kr/news/stock/view/2022/02/148846/]
해외 증시_우크라 긴장 완화, 나스닥 2.5% 반등
1. 러시아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접경에 배치되어있던 병력의 일부의 복귀를 밝힘
2. 전쟁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되어 나흘간 떨어지던 장세에 던져진 긍정적 신호.
3.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 투자심리의 회복, 경제 지표의 반등으로 드러남
4. 하지만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대비 1.0%, 전년 동월보다 9.7% 상승.
5. 전월 대비 상승률은 시장 전망치(0.5%)의 두 배,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도 작년 12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9.8%) 육박.
6.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통화 긴축에 대한 긴장감은 여전. ✔아직 주식 매수 시기는 아닌것으로 판단.
[https://m.mk.co.kr/news/stock/view/2022/02/144885/]
'경제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사태의 본격화 조짐. 불안감 상승(2022/02/19 뉴스읽기) (0) | 2022.02.19 |
---|---|
금리 인상과 전쟁 긴장감의 혼돈 속 결단을 내리는 사람들(2022/02/18 뉴스읽기) (0) | 2022.02.18 |
대한민국의 처참한 재정과 더 어두운 미래(2022/02/17 뉴스읽기) (0) | 2022.02.17 |
코로나19에 감염된 시장(2022/2/14 뉴스 읽기) (0) | 2022.02.14 |
통화 긴축의 공포감이 덮친 시장(2022/2/13 뉴스 읽기)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