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오늘

경제/뉴스

빠른 변화에 곳곳에서 삐걱거리는 소리(2022/04/03 경제뉴스요약)

Jis_ 2022. 4. 3. 22:25

국내 경제_시중 은행들의 온라인화, 소외되는 고령층


1.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확산으로 점포.ATM.금융상품이 빠른 속도로 사라짐.
2. 온라인을 어려워하는 노인들의 소외.
3. 2021년 상반기, 60대 이상 적금 가입자의 80.9%가 점포 방문 거래.
4. 시중은행들이 디지털화를 핑계로 유지 비용을 줄여 비용 절감만 시키는 것이라는 일축.
5. 고령자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
6. 주요 은행들은 인터넷전문은행들과의 경쟁 때문에 불가피하다는 항변.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99126]



미국 경제_급격히 살아난 미 고용지표, 인플레이션 가속화 가능성


1. 지난 1일, 미국의 3월 실업률이 예상보다 0.1% 낮은 3.6% 기록.
2. 해당 정보를 포함한 고용지표를 발표하자 2년물 국채금리 급등.
3. 2년물 국채 금리 2.46%, 10년물 국채 금리 2.39%로 금리 역전현상 발생.
4. 이는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이 주요 원인.
5.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역전은 6~24개월 이내 경기침체를 동반해 온 과거 경험을 통해 투자자 사이의 불안감 확산.
6. 미국 금리 인상은 5, 6, 7, 9월 마다 0.5%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측.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99218]



국내 경제_공정위에게 노려지는 네이버와 카카오


1. 공정위,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에 내부거래, 일감 몰아주기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검토 작업 착수.
2. 무형자산 내부거래와 계열사에 대한 부당 매출이 주요 사안.
3. 아직 정식 조사를 시작하진 않았으나 늘어나는 내부거래 매출에 의문을 품은 상황.
4. 내부거래는 주로 캐릭터 매출이 차지하고 있으며, 캐릭터 사용권의 합당한 가격, 규모, 강제매입 여부 등이 관건.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99262]



국내 경제_세계 비건들의 취향을 사로잡은 국내 대체육 산업


1. 동물 복지, 환경, 건강을 모두 사로잡은 대체육 시장의 성장.
2. 신세계푸드 배러미트는 기존 B2B(기업과 기업) 거래에서 B2C(기업과 소비자) 영역까지 확대, 올 하반기 대체육 햄 제품을 대대적으로 출시할 계획.
3. 현재 시장에도 이미 대체육 만두, 식물성 불고기 철판볶음밥 등 여러 HMR(가정간편식) 등으로 인기몰이중이며 닭고기 맛 등 더 많은 HMR 제품을 계획중.
4. 비건 인구가 많은 싱가포르, 호주, 괌 등에도 많은 수출로 매출을 올리는 중.

-세포배양육이 아니라 식물성 재료로 맛을 흉내낸 대체육이라 조금 실망.. 배양육 시장은 언제 상품화 될 지 모르겠네요.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99156]



국내 경제_배달의 민족 수수료 인상, 자영업자들 부담감 극대화


1.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배달의 민족의 배민1 서비스 수수료 인상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쏟아지는 중.
2. 배민1은 기존 중개수수료 1000원, 배달비 5000원에서 현재 3가지(기본형, 배달비 절약형, 통합형)로 나뉘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본형은 배달비 6000원, 중개수수료 6.8%(부가세 포함 7.48%)로 주문액이 커지면 수수료도 커지는 형태.
3. 배민1은 한번에 하나의 음식만 배달하여 빠른 배달속도로 많이 이용했으나 비싼 비용으로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갈림.
4. 배달의 민족은 현재 독과점에 가까운 상황으로 자영업자들은 해당 서비스 이용을 자제해달라 읍소하는 중.

[매일경제]
[https://news.mk.co.kr/newsRead.php?year=2022&no=299188]

반응형